-01

위 코드를 쓰기위해 에러가 두번 났는데

 

에러1

에러1은 리턴값을 안써서 할당이 안된걸로 나왔다... 리턴을 잘쓰도록

 

에러2

 이 에러는 내가 i와 i-1을 비교해 둘중 하나가 크면 i로 리턴하기라고 쓴것이다. 이렇게 썼더니 뒤쪽에만 결과가 나오길래 봤더니 i가 증가할수록 i i-1 한 후 i를 결과값으로 내서 i i+2 이렇게 비교한게 아니라 단지 2 2-1 3 3-1 이런식으로 비교하는 거여서 결과값이 안나왔다

'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위코드 사전스터디 4주차 마무리  (0) 2022.09.04
  • 객체란 무엇이며 필요한 이유

객체는 하나의 변수에 여러 속성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자바스크립트의 참조형 데이터 타입 중 하나입니다. 객체는 key(속성이름) value(속성 값) property(속성)으로 이루어져있는데 배열과는 달리 순서는 중요하지 않습니다. 

객체가 필요한 이유는 자바스크립트가 객체 기반의 스크립트 언어이기 때문입니다. 원시타입을 제외한 나머지들 전부가 객체입니다. 객체는 데이터를 의미하는 property 와 데이터를 참조,조작할 수 있는 method로 구성되어 있는데 객체는 그 둘을 모두 포함하는 구조화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합니다. 또한 코드 유지 보수에도 편리합니다.

  • 객체에서 property, key, value

property : object의 속성. property 내에 key와 value로 구성된다. 

key:빈 문자열을 포함하는 모든 문자열 또는 심벌값

value: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값

  • 객체에 접근 하는 두 가지가 있는 이유

 

키값이 네이밍 규칙을 준수 했는가에 따라 다르게 사용하기 때문이다. dot notation은 이 규칙이 준수 되었을때 권장되는 것이고 bracket notation은 혼용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.

  • 객체의 값을 추가,수정, 삭제하는 방법

추가, 수정시 : dot noation 으로 사용시 추가/수정- key.(추가/수정할 속성 이름)=(추가/수정할 속성 값); --숫자로 시작x변수포함x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bracket notation 으로 사용시 추가/수정-key[(추가/수정할 속성 이름)]=(추가/수정할 속성 값);

삭제시 : delete key.(삭제할 속성 이름);

            delete key.[(삭제할 속성 이름)];

  • 객체와 배열이 섞인 복잡한 객체 만들어서 접근하는 방법
let myPlants = [
    {
      type: "flowers",
      list: [
        "rose",
        "tulip",
        "dandelion"
      ]
    },
    {
      type: "trees",
      list: [
        "fir",
        "pine",
        "birch"
      ]
    }
  ];
  
let foundValue = myPlants[1].list[1]; // let foundValue = myPlants[1]['list'][1]
console.log(foundValue); //"pine"
  • 배열의 타입이 객체인 이유

순서가 있는 목록을 만들 때 객체를 사용하면 순서와 관련된 메서드가 없어 불편하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는 존재가 배열이라 배열의 타입은 객체가 된다.

'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~2주차 정리 01  (0) 2022.10.02

+ Recent posts